- 불안증은 최근에 생긴 증상으로.....병원 가야지 라고 결심하게 된 계기중의 하나가 이거였다;;;;
그깟 돈 5만원돈 하나도 안아깝다.
한동안은 상담하고 약 안 맞으면 바꿔가야해서 일주일에 한번씩 가야하는데
갈때마다 3~5만원정도 생각하면 될지 싶다.
그래도 안아깝다.
난 이 병원 다니려고 억지로 힘들게 취직한거니까.
정말 하나도 안 아깝다.
처방받은 약이 좀 복잡한데.
늘 먹는 약이 있고, 증상이 심하다고 느껴질때 따로 복용하는 약이 또 있다.
설명을 들었는데 잘 기억이 안난다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멍~하고 머리 잘 안돌아가고 집중력, 이해력 떨어지는것도 물어봤더니.
우울증의 대표적인 증상이라고.........가성치매 란다;;;;;;;;
치매는 아니지만......치매랑 비슷한 증상이 나타난다고.
약먹으면 괜찮아질거라고 한다. 한 6개월 이상은 먹어야 한다고 ㅠㅠㅠㅠㅠ 엉엉;;;;
근데 보통 우울증약 먹는 사람들 몇년씩 먹고 잘 못 끊던데.....이걸 어쩔;;;;;;;;
난 계속 비보험으로 할건데.........흐흑.....열심히 벌어야겠고만;;;;;;
연금보험 가입할때까지........열심히 비보험으로 다녀보자;;;;;
돈이 아까워도 어쩌겠어.........써글놈의 세상이 정신과 다니면 색안경부터 끼고 보는데;;;;
일단 처방받은 약은 기본적인 항우울제,수면제인듯......
약 하나가 정말 모르겠다......검색이 안됨;;;;;
약발이 세다고 느껴지면 반 쪼개서 먹으라는데...이 약이 대체 뭐여;;;;;;; 검색안돼;;;;;
처방받은 약은 이거임.
프로작 이라고 검색하면 나옴.
대표적인 항우울제.
신경안정제.......자기전에 먹는거.
요건 수면제.
불안증에 새벽에 자주 깨고 잠 못들때 먹으라고......
약 먹기 시작한 초반이 가장 약발이 잘 듣는다고 하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까 낮에 먹었는데 아직은 잘 모르겠음.
제발 효과가 있어라.........흐흑.
+) 못 찾은 약 찾았다!
■ 상품명
알프라졸람정, 자낙스 정, 자나팜정, 아졸람 정, 알프람정,
■ 분류
항불안제, Antianxiety Drug (Benzodiazepine)
■ 개요
Alprazolam은 benzodiazepine계 항불안제로 경구투여 후 신속히 흡수되어 1∼2시간 이내에 최고 혈중 농도에 도달하며, 약물 반감기가 12∼15시간으로 다른 약물에 비해 짧으므로 하루하루 환자의 증세에 따라 치료하는 단기 완화요법에 적합합니다. 또한 위ㆍ십이지장궤양 등의 정신신체상관성질환(psychosomatic disorders)에 효과가 인증되었으며, 다른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에서 나타나지 않는 항우울 작용도 나타내어 반응성 우울(reactive depression)에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의존성 및 금단증상 : 대량 연용에 의해 드물게 약물의존성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신중히 투여해야 합니다. 또한 대량투여 또는 연용 중에 투여량의 급격한 감소나 투여중지에 의해 드물게 경련발작, 헛소리,진전, 불면, 불안, 환각, 망상 등의 금단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투여를 중지할 경우에는 천천히 감량해야 합니다.
2) 정신신경계
(1) 정신분열증 등의 정신장애자에 투여하면 오히려 불안, 흥분, 우울, 자극과민, 착란, 환각, 정신병, 기타 행동장애 등의 역설적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하고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해야 합니다.
(2) 때때로 이인증, 졸음, 기상곤란, 휘청거림, 어지러움, 보행실조, 두통, 구음장애, 진전, 실신, 다행증, 불면, 말더듬증, 운동실조, 집중곤란, 건망, 초조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눈 : 안구진탕, 시력불선명 등의 시각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간장 : 드물게 황달, 때때로 AST, ALT, ALP의 상승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호흡기계 : 만성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질환에 투여한 경우 호흡억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6) 순환기계 : 드물게 혈압저하, 심계항진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7) 소화기계 : 때때로 구갈, 구역, 구토, 식욕부진, 복통, 복부불쾌감, 변비, 설사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8) 과민증 : 드물게 발진, 가려움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해야 합니다.
9) 골격근 : 때때로 무력감, 권태감, 근이완 등의 근긴장저하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10) 기타 : 요폐, 요실금, 월경불순, 성욕의 변화, 드물게 발한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